728x90 반응형 전체 글431 셀러리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셀러리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셀러리란? 셀러리란 미나리과에 속하며, 남유럽, 북아프리카, 서아시아가 원산지이다. 한해살이 풀이며, 양 미나리라고도 불린다. 한글로는 '샐러리'로 잘못 적는 경우가 흔하나 '셀러리가'가 맞다. 본래 야생 셀러리는 쓴맛이 강하여 17세기 이후 이탈리아인들에 의해 품종이 개량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체적으로 향이 있는 식재료이다. 셀러리가 성장하면, 키는 1 m 정도, 잎은 길이 3~6 cm, 폭 2~4 cm 남짓한 우상복엽(羽狀複葉)이다. 꽃은 흰색으로 직경 2~3 mm 정도 크기다. 줄기는 몇 개가 몰려서 서로 평행하게 곧게 올라가는 형태를 띤다. 당연히 뿌리도 있는데, 직접 볼 기회는 거의 없다. 셀러리는 줄기만 먹으므로 뿌리는 잘라버리고 잎만 조금 남겨둔 채.. 효능이슈 2021. 6. 6. 케일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케일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케일이란? 케일이란 십자화과의 2년생 또는 다년생 식물이며, 곱슬 케일, 쌈케일, 꽃 케일 등의 종류가 있다. 지구 상에서 가장 영양소가 밀집한 음식 중 하나라고 하며, 채소로 위장한 비타민과 미네랄 알약이라고 불릴 정도다. 비타민류와 무기염류가 많다. 같은 식물이긴 하지만 품종이 개량된 건 양배추보다 빨라서 양배추의 선조 격이다. 한국, 일본에서는 녹즙으로 많이 섭취한다. 한국에서는 쌈야채로 먹기도 하고 유럽권에서는 일반적인 양배추처럼 데쳐먹는 채소이다. 특히, 독일 북부지방에서 많이 섭취한다. 케일은 양배추,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브뤼셀 스프라우트, 콜라비와 같은 종이다. 2010년대 들어서 급격하게 인기가 많아진 야채이며, 미국에서 원래 그렇게 특이한 식재료가 .. 효능이슈 2021. 6. 5. 청경채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청경채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청경채란? 청경채는 중국 배추의 한 가지 품종으로 원산지는 중국 화중 지방이다. 명칭은 잎과 줄기가 푸른색을 띤 데서 유래했으며,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푸른 줄기 나물'이다. 포기째 먹는 채소로 수분이 많아 생으로 먹으면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식감이 신선하다. 특별한 맛이 느껴지진 않지만, 굳이 맛을 표현하면 부드러운 양배추와 시금치의 중간 정도의 맛이다. 이처럼 튀는 맛이 없어 주로 소스의 맛을 살리거나 쌈 채소, 샐러드 또는 볶음 요리에 주로 활용된다. 청경채는 중국 요리에서 상당히 자주 사용되는 채소로 날로 먹기보다는 기름에 볶거나 물에 데치는 등 열을 약간 가해서 색감을 돋우고 줄기의 아삭한 식감을 살리는 방법으로 조리된다. 그래서 중국에서 살았던 사람은 그냥.. 효능이슈 2021. 6. 4. 오미자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오미자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오미자란? 오미자란 산골짜기 암반지대에서 서식하는 덩굴성 식물인 오미자나무에 열리는 과일이다. 달고 쓰고 시고 맵고 짠 다섯 가지의 맛이 난다고 해서 오미자라고 불린다. 오미자는 공 모양의 지름 약 1cm이고 짙은 붉은 빛깔을 가지고 있다.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2개 들어 있으며, 다섯 가지 맛 중에서 신맛이 가장 강하다. 오미자나무는 습기가 적당하고 비옥한 골짜기에 무리를 지어 분포하는데, 6~7월에 지름이 1.5cm 되는 약간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 꽃이 피며 10m까지 자란다. 8~9월이 되면 마치 포도송이처럼 빨간 열매가 알알이 박혀 속에는 씨앗이 한두 개씩 들어 있다. 종류에는 오미자(북 오미자)·남 오미자·흑오미자 등이 있다. 우리나라.. 효능이슈 2021. 6. 3. 산수유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산수유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산수유란? 산수유란 층 층나 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이다. 타원형의 핵과로서 처음 자라날 때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는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먹었을 때 약간 단맛과 함께 떫고 신맛이 난다. 10월 중순의 상강 이후에 보통 수확하는데 육질과 씨앗을 분리하여 육질은 술과 차 및 한약의 재료로 사용된다. 산수유 효능 산수유에는 사포닌과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것을 돕고 혈압을 안정시키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를 낮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제거해 고혈압과 동맥경화 등 혈관계 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산수유에는 비타민 B, C, E 그리고 칼륨 등 각종 무기.. 효능이슈 2021. 6. 2. 곤드레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곤드레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곤드레란? 곤드레는 고려엉겅퀴라고도 불리며, 엉겅퀴의 일종으로 다른 엉겅퀴들이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사용되지만, 곤드레는 식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다. 어린잎과 줄기를 섭취할 수 있는데, 데쳐 우려낸 다음 섭취할 수 있다. 과거에는 구황식물로 이용되었던 유용한 산채이다. 빈궁기에는 곤드레밥이라 하여 주곡의 증체를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해장국에 이용하기도 한다. 지금도 강원도 일대에서는 최고의 나물로 친다. 다른 산채들이 주로 봄철에 잎이나 줄기가 연할 때 채취하여 식용하는 반면 곤드레는 5~6월까지도 잎이나 줄기가 연한 것이 특징이다. 초장이 50~100cm이며, 1년생의 경우는 분지가 1~3개 정도이나, 2~3년생의 경우에는 8~11개 정도 발생한다. 가지.. 효능이슈 2021. 6. 1. 율무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율무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율무란? 율무란 벼과의 한해살이 풀이며, 씨앗은 마치 과자 죠리퐁처럼 생겼다. 밭에서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 풀인데 원산지는 동남아시아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서 제배되며 높이는 1.5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으로 길이 15-30 cm, 폭 1-3 cm, 밑부분은 줄기를 감싸 잎집을 이루고 가장자리는 거칠며, 녹색을 띤다. 현재 우리가 주로 볼 수 있는 율무는 야생에서 자라는 율무와는 모습이 많이 다르다. 야생 율무는 이름처럼 눈물 모양으로 생겼지만, 우리가 먹는 율무는 콩과 비슷하게 통통하다. 과거에는 갈아서 죽을 만들어 먹었으며 요즘은 율무차로 많이 먹는다. 간혹 밥에 넣어 먹으면 옥수수밥과 비슷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 한방에서는 의이인.. 효능이슈 2021. 5. 31. 잔나비걸상 버섯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잔나비걸상 버섯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잔나비걸상이란? 잔나비걸상 버섯이란 활엽수의 살아 있는 나무 또는 죽은 나무에 연중 무리 지어 나는 다년생 목재 부후균이다. 너비는 10~50cm이며, 그 이상인 것도 있다. 버섯갓은 반원형이며, 버섯갓의 높이는 30~40cm이고, 전체적으로 원추 모양을 띤다. 표면은 각피로 덮여 있고 회백색이나 회갈색이며 매끈하다. 살은 두께가 1~5cm이고 어두운 자주색이 코르크질이다. 잔나비불로초라고도 불리며, 버섯갓의 아랫부분은 흰색이나 누런 흰색이며 만지면 갈색으로 변화한다. 관공은 다층구조를 가지며, 각 층의 두께는 1cm 내외이다. 한국에서는 오대산, 지리산 등 높은 산지에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고루 분포한다. 잔나비걸상 버섯은 예로부터 중국과 일본에서 항암.. 효능이슈 2021. 5. 30. 비수리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비수리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비수리란? 비수리란 다년생 초본 혹은 초본성 야관목으로 전국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노우근, 호지차, 산채자, 야관문이라고도 불리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늘고 짧은 가지는 능선과 더불어 털이 있다. 높이 50~100cm까지 자라며 가지가 많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이 3장씩 나온 겹입니다. 작은 잎은 줄 모양의 거꾸로 세운 듯한 바소꼴이고 뒷면에 떨이 있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드는 곳이면 어디든 잘 자란다. 꽃은 잎보다 짧게 잎겨드랑이에 나비 모양으로 붙어 백색으로 피는데 중앙부에 자주색 줄무늬가 있다. 열매는 암갈색으로 10월에 달리고 안에는 황록색 바탕에 적색 반점이 잇는 1개의 씨가 들어 있다.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비수리 .. 효능이슈 2021. 5. 29. 천문동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천문동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천문동이란? 천문동이란 하늘의 문을 열어주는 겨울 약초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몸이 가벼워지고 정신이 맑아져서 곧 신선처럼 되어 하늘에 오를 수 있다는 이야기도 가지고 있을 정도로 효능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천문동은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울릉도 및 중부, 나부 지방의 바닷가 근처 산기슭이나 섬 지방에 서식한다.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완화하고 습윤한 기후에 잘 자란다. 천문동의 뿌리는 야콘과 비슷하게 생겼다. 천문동의 많은 방추형의 뿌리가 사방으로 퍼지면서 자라는데 한방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고 한다. 천문동 효능 천문동은 약간 쓴맛을 가지고 있는데, 이 쓴맛 속에는 스테로이드, 사포닌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스테로이드, 사포닌은.. 효능이슈 2021. 5. 28. 야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야콘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야콘이란? 야콘이란 달콤한 맛이 강해 '땅속의 배'라고 불리며, 겉모양은 고구마와 매우 닮았으나 고구마와 달리 전분이 거의 없다. 섬유질이 풍부하고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 안성맞춤인 식품으로 꼽힌다. 야콘은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로 지하부는 다아리아나 고구마와 비슷하고 지상부는 돼지감자와 흡사하며, 키는 1.5~3m 정도이다. 줄기는 녹색~자색을 띠며 털이 많고, 원통이거나 다소 각이 지고 성숙기에는 속이 빈다. 안데스 고원 지역이 원산지이며, 1980년대 우리나라에 들어온 야콘은 한동안 인기를 얻지 못하다가 건강에 좋다는 소문이 나면서 현재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채소가 되었다. 야콘 효능 야콘에는 프로바이오닉스의 한 종류인 프락토올리고당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효능이슈 2021. 5. 27. 아욱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아욱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아욱이란? 아욱이란 중국에서는 '채소의 왕'이라고 불리며 우리나라에서도 '가을 아욱국은 사립분 닫고 먹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맛과 영양이 뛰어난 채소이다. 7~8월이 제철이며, 특히 칼슘이 풍부하여 성장기 아이들 발육에 좋고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 해소에도 효과적이다. 아욱의 이름은 잎이 부드럽고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부드럽다'는 뜻의 불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열대 기후에서도 생육이 왕성하기 때문에 여름이 더운 인도와 서부 아시아 및 유럽 직역에서 재배 및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중국에서는 아욱을 콩잎, 부추, 염부추, 파와 함께 오채로 꼽을 정도로 선호하는 식재료이며, 우리나라 한의학에서는 아욱은 찬 성질을 가진 음식으로 몸에 열이 많고 갈증이 많이 .. 효능이슈 2021. 5. 26. 이전 1 ··· 31 32 33 34 35 36 다음 💲 추천 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