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효능이슈423 송로버섯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송로버섯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송로버섯이란? 송로버섯이란 희귀한 버섯류의 일종으로, 한국어로는 서양 송로버섯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익히 잘 알려진 트러플(truffle)이고, 프랑스어로는 트뤼프(truffe), 이탈리아어로는 타르 투피(tartufi) 혹은 투베르(Tuber)라고 부른다. 송로버섯은 진미로 유명하며, 크게 흰색, 검은색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우리가 자주 접할 수 있는 것은 블랙 트러플이다. 트러플은 땅 속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돼지나 개 같은 후각이 발달한 동물을 이용하여 찾아낸다. 특히, 암퇘지가 이 냄새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다. 떡갈나무 숲의 땅 속에 자라는 이 버섯은 겉에 흙이 묻은 상태에서는 정말 돌멩이랑 구분이 안 되지만 몸값은 몇 백 배 이상 차이 난다. 종균은 5~.. 효능이슈 2021. 6. 10. 오크라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오크라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오크라란? 오크라란 아욱과의 속씨식물로 기다란 초록빛 씨앗주머니를 먹는 채소이다. 영어권에서는 여자 손가락 모양과 비슷하다 하여 레이디스 핑거라고 불린다. 오크라는 아프리카 북동부가 원산지이며 이집트에서는 2000여 년 전부터 채소로 재배하였다. 줄기는 곧게 50~200c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길며 심장형이고 3∼9개로 갈라지며 갈래 조각에 톱니가 있다. 꽃은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피고 노란색이며 밤에 일찍 피어 다음날 오전 중에 스러지고 목화꽃과 비슷하다. 오크라는 겉보기에는 각진 고추처럼 생겼으며, 가로로 썰면 별 모양이 된다. 열대, 아열대 지방에서 주로 자라며, 우리나라에서는 낯선 식물이지만 일본과 중국 남부에서는 상당히 메이저 한 반찬 재료로 .. 효능이슈 2021. 6. 9. 아스파라거스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아스파라거스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아스파라거스란? 아스파라거스란 남유럽이 원산지인 비짜루목의 식용식물로, 여러 포기를 묶으면 빗자루와 모양이 비슷하다고 해서 비짜루목이라고 부른다. 전 세계에 대략 300여 종이 존재하며, 그중 원예종도 몇몇 있기는 하지만 보통 아스파라거스라고 하면 그린 아스파라거스, 퍼플 아스파라거스 품종들을 가리킨다. 한국에 있는 두릅나물과 약간 비슷하다. 아스파라거스는 한국의 기후와 잘 맞아 전국 어디서든 키울 수 있는 식물이다. 사람이 먹는 것은 새순 부분이고, 씨앗을 뿌리고 최소 3년 동안은 뿌리를 발달시키기 위해 수확하지 않는다. 순을 자르지 않고 놔두면 높이가 2m 정도 되는 덤불로 자란다. 아스파라거스는 암수가 나뉘는데, 빨간 열매를 맺는 쪽이 암그루이다. 이 열매.. 효능이슈 2021. 6. 8. 레몬그라스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레몬그라스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레몬그라스란? 레몬그라스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며, 원산지는 스리랑카이다. 이외에도 미얀마, 과테말라, 남미 등에서도 자란다. 다 자란 레몬그라스는 90~100cm 정도로 의외로 큰 식물이며, 잎은 가늘고 길며 적응력이 강해서 어느 곳에서나 잘 자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레몬그라스는 이름에서도 느껴지듯 레몬 향이 나는 허브의 한 종류이다. 하지만 레몬처럼 향이 강하진 않고, 은은한 풀냄새에 레몬 향이 섞인듯한 향이 난다. 레몬그라스는 가지가 갈라지는 곳에 있는 포에서 나온 꽃대에 작은 이삭이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리고 총포가 2개씩 달린다. 식물체에서 레몬 향기가 나기 때문에 레몬그라스라고 한다. 잎과 뿌리를 증류하여 얻은 레몬그라스유(油).. 효능이슈 2021. 6. 7. 셀러리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셀러리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셀러리란? 셀러리란 미나리과에 속하며, 남유럽, 북아프리카, 서아시아가 원산지이다. 한해살이 풀이며, 양 미나리라고도 불린다. 한글로는 '샐러리'로 잘못 적는 경우가 흔하나 '셀러리가'가 맞다. 본래 야생 셀러리는 쓴맛이 강하여 17세기 이후 이탈리아인들에 의해 품종이 개량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체적으로 향이 있는 식재료이다. 셀러리가 성장하면, 키는 1 m 정도, 잎은 길이 3~6 cm, 폭 2~4 cm 남짓한 우상복엽(羽狀複葉)이다. 꽃은 흰색으로 직경 2~3 mm 정도 크기다. 줄기는 몇 개가 몰려서 서로 평행하게 곧게 올라가는 형태를 띤다. 당연히 뿌리도 있는데, 직접 볼 기회는 거의 없다. 셀러리는 줄기만 먹으므로 뿌리는 잘라버리고 잎만 조금 남겨둔 채.. 효능이슈 2021. 6. 6. 케일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케일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케일이란? 케일이란 십자화과의 2년생 또는 다년생 식물이며, 곱슬 케일, 쌈케일, 꽃 케일 등의 종류가 있다. 지구 상에서 가장 영양소가 밀집한 음식 중 하나라고 하며, 채소로 위장한 비타민과 미네랄 알약이라고 불릴 정도다. 비타민류와 무기염류가 많다. 같은 식물이긴 하지만 품종이 개량된 건 양배추보다 빨라서 양배추의 선조 격이다. 한국, 일본에서는 녹즙으로 많이 섭취한다. 한국에서는 쌈야채로 먹기도 하고 유럽권에서는 일반적인 양배추처럼 데쳐먹는 채소이다. 특히, 독일 북부지방에서 많이 섭취한다. 케일은 양배추, 콜리플라워, 브로콜리, 브뤼셀 스프라우트, 콜라비와 같은 종이다. 2010년대 들어서 급격하게 인기가 많아진 야채이며, 미국에서 원래 그렇게 특이한 식재료가 .. 효능이슈 2021. 6. 5. 청경채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청경채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청경채란? 청경채는 중국 배추의 한 가지 품종으로 원산지는 중국 화중 지방이다. 명칭은 잎과 줄기가 푸른색을 띤 데서 유래했으며,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푸른 줄기 나물'이다. 포기째 먹는 채소로 수분이 많아 생으로 먹으면 아삭아삭하게 씹히는 식감이 신선하다. 특별한 맛이 느껴지진 않지만, 굳이 맛을 표현하면 부드러운 양배추와 시금치의 중간 정도의 맛이다. 이처럼 튀는 맛이 없어 주로 소스의 맛을 살리거나 쌈 채소, 샐러드 또는 볶음 요리에 주로 활용된다. 청경채는 중국 요리에서 상당히 자주 사용되는 채소로 날로 먹기보다는 기름에 볶거나 물에 데치는 등 열을 약간 가해서 색감을 돋우고 줄기의 아삭한 식감을 살리는 방법으로 조리된다. 그래서 중국에서 살았던 사람은 그냥.. 효능이슈 2021. 6. 4. 오미자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오미자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오미자란? 오미자란 산골짜기 암반지대에서 서식하는 덩굴성 식물인 오미자나무에 열리는 과일이다. 달고 쓰고 시고 맵고 짠 다섯 가지의 맛이 난다고 해서 오미자라고 불린다. 오미자는 공 모양의 지름 약 1cm이고 짙은 붉은 빛깔을 가지고 있다.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2개 들어 있으며, 다섯 가지 맛 중에서 신맛이 가장 강하다. 오미자나무는 습기가 적당하고 비옥한 골짜기에 무리를 지어 분포하는데, 6~7월에 지름이 1.5cm 되는 약간 붉은빛이 도는 황백색 꽃이 피며 10m까지 자란다. 8~9월이 되면 마치 포도송이처럼 빨간 열매가 알알이 박혀 속에는 씨앗이 한두 개씩 들어 있다. 종류에는 오미자(북 오미자)·남 오미자·흑오미자 등이 있다. 우리나라.. 효능이슈 2021. 6. 3. 산수유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산수유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산수유란? 산수유란 층 층나 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이다. 타원형의 핵과로서 처음 자라날 때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는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먹었을 때 약간 단맛과 함께 떫고 신맛이 난다. 10월 중순의 상강 이후에 보통 수확하는데 육질과 씨앗을 분리하여 육질은 술과 차 및 한약의 재료로 사용된다. 산수유 효능 산수유에는 사포닌과 칼륨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나트륨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것을 돕고 혈압을 안정시키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를 낮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나쁜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제거해 고혈압과 동맥경화 등 혈관계 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산수유에는 비타민 B, C, E 그리고 칼륨 등 각종 무기.. 효능이슈 2021. 6. 2. 곤드레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곤드레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곤드레란? 곤드레는 고려엉겅퀴라고도 불리며, 엉겅퀴의 일종으로 다른 엉겅퀴들이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사용되지만, 곤드레는 식용으로만 사용하고 있다. 어린잎과 줄기를 섭취할 수 있는데, 데쳐 우려낸 다음 섭취할 수 있다. 과거에는 구황식물로 이용되었던 유용한 산채이다. 빈궁기에는 곤드레밥이라 하여 주곡의 증체를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였으며, 해장국에 이용하기도 한다. 지금도 강원도 일대에서는 최고의 나물로 친다. 다른 산채들이 주로 봄철에 잎이나 줄기가 연할 때 채취하여 식용하는 반면 곤드레는 5~6월까지도 잎이나 줄기가 연한 것이 특징이다. 초장이 50~100cm이며, 1년생의 경우는 분지가 1~3개 정도이나, 2~3년생의 경우에는 8~11개 정도 발생한다. 가지.. 효능이슈 2021. 6. 1. 율무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율무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율무란? 율무란 벼과의 한해살이 풀이며, 씨앗은 마치 과자 죠리퐁처럼 생겼다. 밭에서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 풀인데 원산지는 동남아시아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에서 제배되며 높이는 1.5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피침형으로 길이 15-30 cm, 폭 1-3 cm, 밑부분은 줄기를 감싸 잎집을 이루고 가장자리는 거칠며, 녹색을 띤다. 현재 우리가 주로 볼 수 있는 율무는 야생에서 자라는 율무와는 모습이 많이 다르다. 야생 율무는 이름처럼 눈물 모양으로 생겼지만, 우리가 먹는 율무는 콩과 비슷하게 통통하다. 과거에는 갈아서 죽을 만들어 먹었으며 요즘은 율무차로 많이 먹는다. 간혹 밥에 넣어 먹으면 옥수수밥과 비슷한 식감을 느낄 수 있다. 한방에서는 의이인.. 효능이슈 2021. 5. 31. 잔나비걸상 버섯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잔나비걸상 버섯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잔나비걸상이란? 잔나비걸상 버섯이란 활엽수의 살아 있는 나무 또는 죽은 나무에 연중 무리 지어 나는 다년생 목재 부후균이다. 너비는 10~50cm이며, 그 이상인 것도 있다. 버섯갓은 반원형이며, 버섯갓의 높이는 30~40cm이고, 전체적으로 원추 모양을 띤다. 표면은 각피로 덮여 있고 회백색이나 회갈색이며 매끈하다. 살은 두께가 1~5cm이고 어두운 자주색이 코르크질이다. 잔나비불로초라고도 불리며, 버섯갓의 아랫부분은 흰색이나 누런 흰색이며 만지면 갈색으로 변화한다. 관공은 다층구조를 가지며, 각 층의 두께는 1cm 내외이다. 한국에서는 오대산, 지리산 등 높은 산지에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고루 분포한다. 잔나비걸상 버섯은 예로부터 중국과 일본에서 항암.. 효능이슈 2021. 5. 30.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다음 💲 추천 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