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구기자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728x90
구기자란?
- 구기자란 가지목 가지과 구기자나무 속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 구기자는 열매 이름이며, 나무 이름은 구기자나무로 순 한국말로는 구기자나무, 물고추나무이지만 현재는 어감 때문에 여름 이름을 따서 구기자나무로 불린다. 다시 말해, 나무 이름이 열매 이름에게 역으로 바뀐 만큼 열매의 존재가 크다.
구기자 효능
- 구기자에는 베타인이라는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은 간의 피로를 해소하고 손상된 간이 스스로 재생하여 기능할 수 있는데 이점을 지니고 있다. 붉은 과실을 우려낸 차나 삼계낭이나 보쌈 등에 부 재료로 넣어 국물을 섭취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 뇌의 세포가 빠르게 노화되고 파괴되는 것을 막는데 쓰이는 다양한 세포 보호 항산화 성분이 구기자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구기자를 꾸준히 섭취하면 뇌세포를 보호하여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구기자에는 시력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 알려진 지아잔틴과 비타민 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 구가지 100g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은 약 190mg으로 성인 기준 하루 칼슘 섭취 권장량의 약 60% 수준으로 상당히 높다. 칼슘은 뼈를 단단하게 하여 골다공증 위험도를 낮추고 유아 청소년의 성장 발달에 꼭 필요한 영양소다.
- 구기자의 풍부한 항산화 성분은 피부 미용은 물론 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다. 피로 해소에 도움이 되는 구기자차는 더운 여름 잃기 쉬운 활력과 에너지를 채우는데 좋은 재료로 기관지 건강을 관리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728x90
구기자 부작용
- 찬 성질이 있어 과량 복용시 폭풍 설사를 경험할 수 있으므로 단독으로 사용하지 말고 보완 약재를 같이 써주는 것이 좋다고 한다.
- 말린 구기자를 먹을 때도 한번에 과량은 금물이고 따뜻한 차와 함께 먹는 것을 추천하기도 한다.
구기자 먹는 법
- 구기자 나무 열매는 시력에 매우 좋다 하며, 특히 삼계탕에 넣어 먹으면 좋다고 한다.
- 각종 매체에서 악녀로 묘시되는 청나라 서태후가 스테미너 보충을 위해 즐겨 찾았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구기자의 열매는 강장제로 유명했다.
- 잎, 열매, 뿌리껍질 무엇하나 빠질 것 없이 약재/식재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효능에는 면역 기능 개선, 뇌세포 손상 방지, 피부 건강, 눈, 혈당 수치, 간 개선 등이 있다. 약용에는, 뿌리의 껍질, 열매를 사용한다. 근피, 과실 모두 가을에 채취하며 근피는 강장, 염증의 억제, 해열에, 과실은 강장 약으로서 달여 마신다.
- 구기자나무 잎은 나물로 데쳐먹거나 된장국에 넣어서 끓여먹는다.
- 열매는 따서 말려 끓는 물에 푹 달여서 차로 마시거나 술로 담가 먹어도 된다.
- 서양에서는 21세기 들어 구기자 효능이 널리 알려져 의외로 요리에 많이 사용한다. 건포도처럼 빵에 넣어 먹거나, 그래놀라 에너지바에 넣어 먹거나, 셰이크 형태로 마시기도 한다.
- 구기자는 색이 붉고 벌레 먹은 것이 없는 것을 고른다.
- 구기자는 햇볕에 말려야 하며 장마철에는 곰팡이가 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구기자의 여린잎은 밥에 쪄서 먹기도 하고 된장국에 넣어 먹기도 하며 또 나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열매는 생식하며 잎과 열매는 구기차로 하여 마신다.
728x90
반응형
'효능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사자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1) | 2022.09.11 |
---|---|
사상자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09.07 |
글루타치온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복용 법 (1) | 2022.08.31 |
꽃게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08.24 |
문어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