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홍합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728x90
홍합이란?
- 홍합이란 연체동물 문 이매패 강 담치 목 홍합과 홍합 목의 조개를 뜻한다.
- 담치, 합자, 열합, 섭, 각채, 주채 등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 홍합을 삶아서 말린 것은 담채라는 이름으로 따로 구분하고 있다.
- 홍합은 늦겨울~ 봄 사이가 제철이며, 산란기는 늦봄 ~ 초여름 사이다. 산란기 전후의 것은 맛이 많이 떨어질뿐더러 삭시토신이라는 독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홍합 효능
- 홍합에는 비타민 C와 E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건강에 좋고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 피부 미용에도 많은 도움을 준다. 이외에도 다양한 미네랄과 셀레늄 성분은 피부의 건조를 막아주고 세포의 재생을 촉진하기 때문에 피부 미용 관리에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다.
- 홍합에는 체내 축적된 피로를 해소시켜주고 에너지 생성에 많은 도움을 주는 타우린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피로를 해소하고 기력을 회복하는 효능이 있다.
- 홍합은 숙취를 해소하는데도 뛰어나다. 그렇기 때문에 술안주로 많이 섭취하는 읍식 중 하나이다.
- 홍합 속에는 타우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은 숙취의 주원인인 아세트알데히드의 분해를 도와주고 알코올로 인해 손상된 간의 회복을 도와 숙취 해소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 홍합에는 세포의 구성 성분인 핵산이 조개류 중에서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타우린 성분도 풍부하기 때문에 당뇨병이나 동맥경화, 고혈압 등과 같은 여러 성인병을 예방하는데 좋다.
- 홍합의 칼륨 성분은 혈관 속 나트륨과 노폐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뇨 작용을 하여 혈관을 건강하는데 도움이 된다.
728x90
홍합 부작용
- 홍합은 산란기인 5~9월 삭시토신이라는 독을 가지고 있다. 이 성분은 언어장애와 미비 등의 증세를 일으킬 수도 있으니 가급적 겨울철에 섭취하는 것이 좋다.
홍합 먹는 법
- 홍합은 달달하고 감칠맛이 있어 육수 재료로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동양과 서양을 분문하고 매우 많이 먹고 있다.
- 다시마, 멸치, 가쓰오부시처럼 인기가 좋은 편인데, 해물탕의 경우 홍합 유무에 따라 맛 차이가 매우 크다.
- 짬뽕, 미역국에 넣기도 하고 홍합탕을 끓여서 다른 조개처럼 먹기도 한다.
- 홍합 껍데기가 맛을 내는 부분이기 때문에 국물을 내고 싶다면 살만 넣으면 안된다.
- 통영에서는 건홍합을 만들 때 삶은 물을 계속 졸여서 합자 젓국이라는 감칠맛 나는 장을 만든다고 한다.
- 살이 통통하고 윤기가 나며 비린내가 나지 않는 것이 신선하다. 껍질을 벗겨 보아 살이 붉은빛이 도는 것으로 고른다.
- 껍질을 바락바락 깨끗이 문질러 씻어 지저분한 것들을 떼어내고 살을 발라내어 연한 소금물에 흔들어 씻어 건진 다음 가장자리 검은 수염을 잘라낸다. 수염을 잘라냈으면 내장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때는 칼보다 조리용 가위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탕으로 끓여먹거나 국, 찌개, 찜이나 샐러드에 재료로 쓰이고, 유럽에서는 특히 즐겨 먹는 요리 재료로 수프, 찜, 구이 외에도 이용 범위가 매우 넓다. 봄에 먹는 것이 맛이 좋으며 말렸다가 먹기도 한다. 살을 삶아 말린 것을 담채라 하며 영양적으로 우수한 홍합이다.
728x90
반응형
'효능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자미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1) | 2022.10.13 |
---|---|
조기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10.09 |
해삼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1) | 2022.10.03 |
가리비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1) | 2022.09.29 |
호박씨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