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씀바귀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728x90
씀바귀란?
- 씀바귀란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라는 여러 해 살이 풀이다. 쓴 맛이 나서 씀바귀라고 불리며, 한국과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 씀바귀는 높이 25~50cm로 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뿌리에서 나온 것은 대가 있고 줄기에 달린 것은 잎자루가 없으며, 가장자리에 치아 상의 톱니가 자란다. 꽃은 5~7월에 피고 황색이며, 설상화는 보통 5개씩이지만 많은 것도 있다. 수과에 10개의 능선이 있고 관모는 연한 황색을 띤다.
씀바귀 효능
- 씀바귀에는 시나로 사이드와 토코페롤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들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주고, 혈관 속의 노폐물을 몸 밖으로 배출하여 혈관 질환에 도움이 되는 효능이 있다.
- 씀바귀에는 알리파틱 및 이눌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들은 암세포의 생성과 증식을 막아주는 항암 작용을 비롯하여 암 예방에도 좋다.
- 씀바귀에는 아르기닌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알라닌과 트레오닌 등의 성분들은 간에 축적되어 있는 독소와 노폐물을 배출하는 것을 돕고 간의 피로를 해소하여 간 기능 개선에도 좋은 효능이 있다.
- 씀바귀의 토코페롤 성분과 시나로 사이드 성분은 체내 세포를 파괴함으로써 노화를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노화 방지에도 도움을 준다.
- 씀바귀는 기본적으로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 체내 발생하는 열을 내려주고, 내장에 축적된 독소를 풀어주는데 도움이 된다.
- 씀바귀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은 소화력을 증진하여 주고 장의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며, 입맛이 없을 때 섭취하면 식욕을 돋아 준다.
- 씀바귀에는 알리파틱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은 체내 신진대사와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여 체내 면역 체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씀바귀 부작용
- 씀바귀는 기본적으로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을 내려주는 효능도 있지만, 평소 몸이 차갑거나 손발이 차가운 사람이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설사나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씀바귀 먹는 법
- 씀바귀는 쓴 맛을 가지고 있지만, 이른 봄에 뿌리와 어린순을 나물로 먹고 성숙한 것은 한방에서 진정제로 사용한다.
- 씀바귀는 잎이 싱싱하며 짙은 녹색일 것, 잎이 지나치게 크거나 거칠지 않은 것이 좋다. 뿌리째 먹는 나물이기 때문에 뿌리에 잔털이 없되 너무 굵지 않고 길게 쭉쭉 뻗은 것이 좋고, 잎은 앞, 뒷면이 깨끗하고 변색되지 않은 것을 고르는 것이 좋다.
- 씀바귀는 젖은 신문지에 씀바귀를 싸서 봉지에 넣고 공기를 불어넣어 냉장 보관하면 오래도록 싱싱하게 먹을 수 있다.
- 씀바귀에 있는 흙을 털어내고 누렇게 변한 겉잎은 깨끗이 다듬어 흐르는 물에 여러 번 씻은 후 사용하며 된다.
- 이른 봄에 뿌리줄기를 캐어 나물로 무쳐 먹거나 부침으로 먹는다. 쓴맛이 매우 강하므로 데쳐서 찬물에다 오랫동안 우려낸 다음 조리하는 것이 좋다. 한방에서는 약용으로 쓸 때는 5~10g씩 달여 먹으면 좋다고 한다.
728x90
반응형
'효능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피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03.15 |
---|---|
고들빼기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03.09 |
냉이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03.02 |
산삼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02.27 |
마카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0) | 2022.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