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능이슈

보리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치하뇽쓰 2022. 1. 24.
728x90
반응형

보리 효능과 부작용 그리고 먹는 법

보리
보리

728x90

보리란?

  • 보리란 보리 또는 대맥이라고 불리며, 쌀, 밀, 수수, 옥수수와 함께 인류가 경작해 온 주요 곡류 중 하나이다.
  • 보리는 기원전 7000년 이전부터 비옥한 초승달 지대에서 재배가 시작된 흔적이 있다. 밀과 함께 최초로 재배하기 시작한 작물로 추정된다.

 

 

보리 효능

  • 보리는 최고의 자연 강장제라고 할 수 있다. 보리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성분은 면역력 증진에 효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영양을 도와 체력을 증진시켜 몸을 튼튼하게 만들어 준다.
  • 보리는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장내 유익균의 증식을 도와 장을 느슨하게 하고 대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 예방에 효과가 있다.
  • 보리는 파키스탄에서 심장 보호제로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을 만큼 혈관 건강에 효능이 있다. 수용성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혈당을 억제하고 동맥경화를 비롯한 심장질환, 고혈압, 당뇨 개선 효과가 있다.
  • 보리에 함유되어 있는 베타글루칸 성분은 대장에서 담즙과 결합한 뒤 몸 밖으로 배설되는데 이는 혈중 지질 수치를 낮추어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준다.
  • 보리는 100g 당 334kcal로 쌀보다 칼로리가 낮다. 식이섬유, 베타글루칸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쌀에 비해 포만감이 높고 체내 지방 흡수율을 막아 다이어트 시 섭취해도 좋다.
  • 보리에는 프로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은 암 유발의 원인인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암세포가 증식하는데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 보리에 함유되어 있는 칼슘, 인 등 성분들은 골격형성에 도움이 되어 성장기 아이들이 섭취하면 골밀도를 강화해주어 골다공증이나 관절 예방에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보리 부작용

  • 보리는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평소 몸이 차거나 소화 기능이 약한 사람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다.

 

 

보리 먹는 법

  • 보리는 추수한 쌀이 바닥났을 때 주식으로 대체할 수 있는 고물로 많이 사용되었다. 봄이나 여름에 씨를 뿌려 가을에 거두는 벼에 비해서 보리는 겨울에 씨를 뿌려 여름쯤에 추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보리는 건빵이나 그냥 빵 혹은 보리밥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며, 그럭저럭 괜찮은 포만감을 가져다준다. 다만, 보리는 밀이나 쌀보다 현저하게 수분 흡수율이 떨어진다. 그래서 보리빵은 그냥 빵보다 식감이 훨씬 거칠고 보리로 밥을 지어도 찰기가 없고 퍽퍽하다.
  • 보리로 밥을 지으려면 오랫동안 물에 불리거나 한번 찌거나 삶아서 밑 작업을 한 다음 밥을 지어야 한다.
  • 보리는 쌀을 대처하여 먹는 경우도 많지만, 맥주를 빚어 먹을 때도 사용한다.
  • 보리는 맛은 몰라도 영양 면에서는 훌륭한 곡식이다.
  • 과거에는 쌀이 없어서 보리를 먹곤 했으나, 요새는 시대가 시대다 보니 쌀이 있어도 따로 보리를 찾곤 한다.
  • 보리의 싹을 틔워 말린 엿기름은 엿, 식혜, 맥주, 위스키, 고추장 등의 필수 재료로 사용되며, 가축 사료와 미생물 배지에도 사용될 만큼 활용 범위가 넓다.
  • 보리는 밥에 넣어 먹거나 가루를 이용하여 떡이나 식혜 등에 이용하여 섭취한다.
  • 담황색으로 광택이 있고 알이 고르고 통통한 것이 좋다.
728x90
반응형

댓글

💲 추천 글